영화 건축학개론은 2012년 개봉한 멜로 영화로, 첫사랑을 주제로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감정을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누구나 한 번쯤 가슴 깊이 간직한 첫사랑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며, 잔잔한 감동을 선사한다. 등장인물 줄거리 검상평 ost로 영화를 알아 보았습니다.
1. 등장인물
이승민(이제훈/엄태웅) :과거에는 건축학과 1학년생으로, 내성적이고 조용한 성격의 소유자다. 좋아하는 감정을 쉽게 표현하지 못하는 미숙함이 있지만, 마음만큼은 진심이었다. 현재는 능력 있는 건축가로 성장했으나, 과거의 감정에는 여전히 솔직하지 못하다.
양서연(수지/한가인) : 대학 시절에는 자유롭고 밝은 성격의 음대생으로, 승민에게 먼저 다가갈 만큼 호기심 많고 따뜻한 인물이다. 그러나 사소한 오해와 엇갈림으로 인해 사랑은 깊어지지 못한다. 현재는 성공한 여성으로 보이지만, 속마음은 외롭고 공허하다.
장나레(조정석) : 승민의 친구로, 밝고 유쾌한 성격이다. 극 중에서 활력을 주는 존재이자, 승민과 서연 사이에 미묘한 영향을 미치는 인물이다.
이승민 아버지(이용녀), 서연의 약혼자(유연석) 등 주변 인물들도 주인공들의 감정 흐름을 더 풍부하게 만들어준다.
2. 줄거리
이승민은 건축학 개론 수업에서 양서연을 처음 만난다. 과제 파트너로 함께 시간을 보내며 점점 가까워지고, 승민은 서연에게 조금씩 마음을 열게 된다. 함께 음악을 듣고, 비밀 장소를 공유하며, 서툴지만 진심을 담은 감정들이 쌓여간다. 그러나 승민은 끝내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지 못하고, 서연 역시 그를 향한 감정을 명확히 표현하지 않는다. 결국 둘의 관계는 애매한 거리감 속에서 서서히 멀어진다. 15년이 지난 어느 날, 서연은 제주도에 집을 지어달라며 승민을 찾아온다. 승민은 당황하면서도 서연과 다시 마주하며 과거의 기억들과 감정들을 하나씩 되짚는다. 함께 지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두 사람 사이엔 다시 묘한 기류가 흐르지만, 그동안의 시간만큼이나 거리도 크다. 결국 그들은 현재의 위치에서 서로를 바라보며, 비로소 진짜 이별을 마주하게 된다.
3. 감상평
건축학개론은 과장된 감정이 없는 대신, 잔잔하고 사실적인 묘사로 관객의 마음을 흔든다. 첫사랑을 겪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영화 속 감정선에 공감할 수 있다. 풋풋함과 서툼, 그리고 시간이 흐른 뒤 찾아오는 아련함까지, 사랑의 여러 결들을 섬세하게 표현해냈다. 특히 수지의 청초한 이미지와 이제훈의 순수한 눈빛은 과거의 감정을 설득력 있게 만들고, 한가인과 엄태웅은 어른의 복잡한 감정을 잘 표현해준다. 건축학개론은 단순한 사랑 영화가 아니다. 첫사랑이라는 추억을 마치 건물을 설계하듯, 조심스럽고 정성스럽게 쌓아간다. 그리고 그 안엔 말하지 못했던 고백과 지나간 시간, 그리고 지금은 닿을 수 없는 감정이 담겨 있다. 누구에게나 한 편쯤 있는 ‘그 시절의 이야기’를 이 영화는 조용히 건네며 말한다. "너의 첫사랑은, 지금 어디쯤 있니?"
4. OST – 기억의 습작
유희열이 작곡하고 이소라가 부른 "기억의 습작”은 영화의 상징과도 같은 곡이다. 피아노와 스트링이 어우러진 잔잔한 멜로디는 첫사랑의 아련한 감정을 더욱 깊게 만든다. 이 노래는 영화가 끝난 뒤에도 오래도록 마음속에 여운을 남긴다.
댓글